보안 정보/악성코드 관련 정보 malwares.com 2018. 2. 19. 17:34
malwares.com 코드분석팀 분석 자료 1. 개요 2018년 1월 26일에 처음 발견된 GandCrab(.GDCB) 랜섬웨어는 RIG EK, Grandsoft EK 두개의 공격 도구를 통해 배포되었습니다. 그러던 중 최근에 Receipt Feb-21310(임의 숫자) 라는 제목으로 메일이 무작위로 발송되었으며 메일에 첨부되어 있던 PDF를 통해 GandCrab 랜섬웨어가 감염되고 있습니다. GandCrab은 해커들이 주로 사용하던 비트코인의 지불을 요구하지않고 비교적 알려지지 않은 대시코인(DASH) 암호화폐를 요구합니다. 대시(DASH)는 해커들에게 더 많은 익명성을 제공하고 비트코인보다 낮은 수수료로 앞으로도 많이 사용될것으로 보입니다. 관련 기사 보러가기 : [데일리시큐] 익스플로잇 킷 통해 ..
보안 정보/악성코드 분석보고서 malwares.com 2017. 11. 13. 14:47
malwares.com 코드분석팀 분석 자료 1. 개요 2017년 10월 9일 SensePost의 블로그에 흥미로운 글이 게시됐다. 이는 오피스 문서 내 DDE(Dynamic Data Exchange) 기능을 활용해 임의의 코드 실행 관련 글로 매크로와 같은 스크립트를 삽입하는 과정이 상세히 나와있다. 또한 이렇게 악성 동작을 삽입한 스크립트는 안티 바이러스 업체에서 탐지가 불가능하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그 동안 Macro와 GhostScript(또는 PostScript) 기능을 이용한 형태에 다른 방식이 추가된 것이다. 문제는 대부분의 안티 바이러스 업체에서 이를 탐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바이러스 진단에 있어 보안에 적신호가 켜진 것이다. 해당 글이 공개된 이후 연일 관련 뉴스들이 쏟아지고 있으며 그..
보안 정보/악성코드 관련 정보 malwares.com 2017. 9. 25. 16:56
malwares.com 코드분석팀 분석 자료 1. 개요 최근 CVE-2017-8759로 명명된 제로데이 취약점의 POC가 공개되었고 핀피셔(FinFisher)는 해당 취약점을 이용해 RTF(Rich Text Format) 문서를 작성했고, 이 파일을 통해서 감시소프트웨어 Finspy 를 러시아어 사용자들을 감염시키기도 하였다. 또한 해당 취약점은 많은 악성코드 제작자들이 사용하고 있고, .NET framework의 대부분 버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매우 크리티컬한 취약점이다.분석을 통해 해당 취약점이 왜 동작하고,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보고 현재 어떻게 패치되었는지 알아보자. ※ 참고 : 분석 정보에 나오는 "vuln.kr" 과 "hack.kr"은 내부 분석을 위해 사용된 분석가 도메인으로 악성 도메인은 ..
보안 정보/악성코드 관련 정보 malwares.com 2017. 2. 15. 17:18
malwares.com 코드분석팀 분석 자료 1. 개요 분석 대상 샘플은 2016년 초부터 꾸준히 배포/보고되고 있는 악성코드로 감염된 사용자 PC에서 지속적으로 동작하면서 서버와 통신 및 기능 업데이트를 하는 형태의 악성코드이다. 본 악성코드의 특이한 점은 업데이트등을 위해 접근하는 C2 서버는 과거 악성으로 사용된 이력이 없는 신규 등록 도메인이라는 점과 업데이트를 제외한 악성으로 의심할 만한 어떠한 동작도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또한 해당 악성코드는 하루에도 3~4차례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고 있는 등 봇넷은 구성되고 있지만 탐지/차단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버전 : 1.0.0.455 ~ 1.0.275.3232유사 변종 샘플 수 : 약 1100여개유포/배포 URL : 800여개 2. 분석 정보 (1)..
보안 정보/악성코드 관련 정보 malwares.com 2016. 3. 8. 15:17
1. 개요 얼마전 금융권과 공공기관에 보안솔루션을 제공하는 보안업체의 디지털 서명이 유출되어 논란이 되었다. 얼마지나지 않아 공공기관,금융기관,민간기관등 국내 시설이라면 대부분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만든 회사의 디지털 서명도 유출된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업체 프로그램은 대부분의 시민들이 쓰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심각한 사안이다. 해당 회사의 인증서로 서명된 악성코드가 등장했고 상당수의 사용자는 감염이 이루어진후에도 아무런 이상을 느끼지 못해 방치했을것이다. 뿐만 아니라 해당 악성코드를 실행할 경우 정상 업데이트와 구분할 수 없다는 점이 파급력을 키운다. 공공 소프트웨어 회사의 프로그램으로 둔갑한 악성코드의 목적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분석보고서 보러가기 - I사 인증서 유출 관련 악성코드 ※ 디지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