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정보/악성코드 관련 정보 malwares.com 2017. 9. 25. 16:56
malwares.com 코드분석팀 분석 자료 1. 개요 최근 CVE-2017-8759로 명명된 제로데이 취약점의 POC가 공개되었고 핀피셔(FinFisher)는 해당 취약점을 이용해 RTF(Rich Text Format) 문서를 작성했고, 이 파일을 통해서 감시소프트웨어 Finspy 를 러시아어 사용자들을 감염시키기도 하였다. 또한 해당 취약점은 많은 악성코드 제작자들이 사용하고 있고, .NET framework의 대부분 버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매우 크리티컬한 취약점이다.분석을 통해 해당 취약점이 왜 동작하고,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보고 현재 어떻게 패치되었는지 알아보자. ※ 참고 : 분석 정보에 나오는 "vuln.kr" 과 "hack.kr"은 내부 분석을 위해 사용된 분석가 도메인으로 악성 도메인은 ..
보안 정보/악성코드 관련 정보 malwares.com 2017. 9. 18. 16:18
malwares.com 코드분석팀 분석 자료 1. 개요 최근 북한의 사이버 공격 그룹이 세금관련 한글문서를 이용해 국내 가상화폐 기업을 공격한 사례가 보도된 바 있다. 해당 북한 공격그룹은 TEMP.Hermit로 다음의 문서 파일을 통해 PEACHPIT 악성코드를 유포했다. 세무조사준비서류.hwp 법인(개인)협의거래보고내역.hwp납세담보변경요구서.hwp환전_해외송금_한도_및_제출서류.hwp2017년5월까지감지된유사수신행위와법률적조치.hwp국내가상화폐의유형별현황및향후전망.hwp이러한 악성 문서 파일들은 최근 유행하는 한글 파일내에 EPS (Encapsulated PostScript) 를 삽입해 동작시키는 형태이다. EPS는 Adobe 측에서 공개한 언어로 인터프리터인 GhostScript를 이용해 문서나 ..
보안 정보/악성코드 분석보고서 malwares.com 2015. 8. 19. 10:04
malwares.com 악성코드 분석팀 분석 자료 1. 개요 금융정보를 대상으로 하는 악성코드는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신/변종을 갖고 있다. 그런데 그 중에서도 다이어(W32.Dyre) 악성코드에 보안업계가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다이어 악성코드는 전세계 1천여 개의 은행 및 기업 시스템을 노리는 악성코드로 작년에 최초 발견되었으며 W32.Dyzap, W32.Upatre 등으로도 불린다. 다이어 악성코드는 MITB 기법을 이용해 사용자의 금융정보를 탈취하는 형태로 올해 초 국내 은행을 대상으로 하는 변종이 발견되었다. 왜 전세계 보안업계에서 다이어(W32.Dyre) 악성코드에 주목하는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보러가기 : [상세보고서] 금융정보를 대상으로 하는 파밍형 악성코드 MITB..
보안 정보/악성코드 분석보고서 malwares.com 2015. 7. 13. 09:00
malwares.com 악성코드 분석팀 분석 자료 1. 개요 최근 몇년동안 해킹공격의 가장 큰 트렌드를 꼽자면 단연 APT 공격을 들 수 있다. APT 공격은 해킹 공격의 흔적을 남기지 않기 위해 또는 정상 접근을 가장해 보안 솔루션의 탐지 및 차단을 우회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APT 공격의 단계를 구분하면 4단계로 다음과 같다.* 침투 단계 : 이메일, USB, 웹사이트를 통한 악성코드 감염* 탐색 단계 : 네트워크 정보, 시스템 정보,등 내부 시스템 구조 파악* 수집 단계 : 데이터 수집* 유출 단계 : 정보 유출이러한 APT 공격의 가장 첫번째 단계인 침투 단계에서는 이메일등을 통해 사회공학적 기법으로 접근을 시도해 악성코드에..
보안 정보/악성코드 분석보고서 malwares.com 2015. 7. 1. 09:00
malwares.com 악성코드 분석팀 분석 자료 1. 개요 금전적인 이득을 얻기 위해 개인의 금융정보를 유출하는 파밍형 악성코드는 이제 더 이상 놀라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파밍형 악성코드는 기능 구현이 비교적 간단하여 비슷한 변종들이 매우 많이 유포되고 있으며 복합적인 공격 기법을 사용한 변종까지 나타나고 있다. 그 중 정상 프로그램 내에 악성코드가 삽입된 형태는 사회공학적 기법을 통해 사용자 PC에 설치를 유도하고 정상 프로그램과 같은 설치/실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가 악성코드에 감염된 사실을 확인하기는 매우 어렵다. 파밍형 악성코드에 감염이 되면 사용자가 은행이나 주요 포털 사이트에 접속할 때 팝업창이 뜨고 개인정보 입력을 유도하는게 일반적인 방법이다. 또한 피싱 사이트는 실제 사이트와..